‘얀테의 법칙(Jante Law)’
페이지 정보
작성자
본문
-첫째:스스로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말라.
-둘째:내가 다른 사람들보다 좋은 사람이라고 착각하지 말라.
-셋째:내가 다른 사람들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지 마라.
-넷째:내가 다른 사람보다 우월하다고 자만하지 말라.
-다섯째:내가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 말라.
-여섯째:내가 다른 사람들보다 더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지 말라.
-일곱째:내가 무엇을 하든지 다 잘 할 것이라고 장담하지 말라.
-여덟째:다른 사람을 비웃지 말라.
-아홉째:다른 사람이 나에게 신경 쓰고 있다고 생각하지 말라.
-열째:다른 사람을 가르치려 들지 말라.
댓글목록
이준영(00)님의 댓글

UN이 발표하는 인류행복지수에서
세계 200여개 국가 중 해마다 상위권에 올라가는 나라들이 있다.
덴마크, 노르웨이, 스웨덴인데 그 중 동화의 나라로
잘 알려져 있는 덴마크는 언제나 세계에서 가장 국민이 행복한 나라 중 한 나라로 손꼽힙니다.
그 이유가 뭘까?ㆍ왜
그들의 문화에는 ‘얀테의 법칙’(Jante Law)이란 게 있습니다.
덴마크가 이상적인 복지와 바람직한 교육 시스템을 갖고 있어서이기도 하지만,
무엇보다 국민 행복의 토대에는 ‘얀테의 법칙(Jante Law)’ 이라는 것이
절대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.
이준영(00)님의 댓글

어느 것 하나 버릴 수 없는 보배와 같은 내용들 임을 알 수 있습니다.
그렇다면. 한국사람 우리를 망치는 대표적인 두 가지는 무엇일까 ?
그것은 ‘우월감’ 과 ‘열등감’ 입니다.
이것은 어디서 열매 맺는 것일까?
‘비교의식’이라는 뿌리를 통해 나오게 되는 두 가지 괴물 입니다.
남들과 비교해서 내가 특별하다는 생각에서 탄생되는 첫번째가 우월감이고,
거기에 미치지 못했을 때 태어나는 두번째가 열등감 입니다.
우리 모두는 ‘우월감’ 과 ‘열등감’ 으로 인하여 많은 피해를 보면서 살아왔습니다.
지금도 그것들로 인하여 고통과 낙심과 좌절 속에 살아가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.
대부분 이지요
우리가 우월감과 열등감에 빠지지 않으려면 위에 소개한 얀테의 법칙 10가지를 꼭 기억하고 살면 됩니다.
남들과 자꾸 비교하다 보니 교만해지거나 아니면 절망과 우울증에 불행해 질 수 있습니다.
비교의식 없이 마음을 비우고 자신의 주제와 처지를 제대로 알고 살면 불행할 이유가 없습니다.
덴마크 국민들이 행복한 이유는 결코 남들보다 잘 나거나 부유해서가 아니라
‘사람은 누구나가 다 존귀하다’ 라는 가치관을 바탕으로
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배려의 마음으로 살아가기 때문입니다.
우리 또한 그런 가치관을 갖고 산다면
아무리 힘들고 어려운 형편의 사람이라도 불행하다 생각하지 않을 것 입니다.
우리는 남과 자신을 비교해서 우월감을 갖거나 아니면 열등감을 가진 채
스스로를 불행 속으로 몰아넣을 필요가 없습니다.
즐거운 날 되셔요! 宇~信!!
이준영(00)님의 댓글

* 敎旨:信 義 敬 愛(내가 남을 믿을 수 있고 남이 나를 믿을 수 있는 신의 있는 사람,
내가 남을 공경하고 남이 나를 공경하는 사랑을 지닌 사람)
* 校名:宇 信(宇-청소년들의 원대한 이상과 포부를 멀리 장엄한 우주의 넓은 세계로,
信-건학 이념의 첫 글자 '信'을 떠받치는 힘의 근원)
* 校訓:1974.3.5 개교 당시(이종근 교장)-"강건.창의.성실"
1976.3. 2대 교장(양병택 교장) ~"푸른 기상, 줄기찬 노력, 슬기로운 협동"